문제주소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7260
<문제 설명>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오지 탐험가인 프로도는 탐험 도중 n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지하 동굴을 탐험하게 되었습니다. 모든 방에는 0부터 n - 1 까지 번호가 붙어있고, 이 동굴에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입구는 0번 방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각 방들은 양방향으로 통행이 가능한 통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서로 다른 두 방을 직접 연결하는 통로는 오직 하나입니다. 임의의 서로 다른 두 방 사이의 최단경로는 딱 한 가지만 있으며, 또한 임의의 두 방 사이에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는 없습니다.
탐험에 앞서 이 지하 동굴의 지도를 손에 넣은 프로도는 다음과 같이 탐험 계획을 세웠습니다.
- 모든 방을 적어도 한 번은 방문해야 합니다.
- 특정 방은 방문하기 전에 반드시 먼저 방문할 방이 정해져 있습니다.
2-1. 이는 A번 방은 방문하기 전에 반드시 B번 방을 먼저 방문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2-2. 어떤 방을 방문하기 위해 반드시 먼저 방문해야 하는 방은 없거나 또는 1개 입니다.
2-3.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방에 대해 먼저 방문해야 하는 방이 같은 경우는 없습니다.
2-4. 어떤 방이 먼저 방문해야 하는 방이면서 동시에 나중에 방문해야 되는 방인 경우는 없습니다.
위 계획 중 2-2, 2-3, 2-4는 순서를 지켜 방문해야 하는 두 방의 쌍이 A → B(A를 먼저 방문하고 B를 방문함) 형태로 유일함을 의미합니다. 즉, 프로도는 아래와 같은 형태로 방문순서가 잡히지 않도록 방문 계획을 세웠습니다.
- A → B, A → C (방문순서 배열 order = [...,[A,B],...,[A,C],...]) 형태로 A를 방문 후에 방문해야 할 방이 B와 C로 두 개 또는 그 이상인 경우
- X → A, Z → A (방문순서 배열 order = [...,[X,A],...,[Z,A],...]) 형태로 A를 방문하기 전에 방문해야 할 방이 X와 Z로 두 개 또는 그 이상인 경우
- A → B → C (방문순서 배열 order = [...,[A,B],...,[B,C],...) 형태로 B처럼 A 방문 후이면서 동시에 C 방문 전인 경우
그리고 먼저 방문해야 할 방과 나중에 방문할 방을 반드시 연속해서 방문해야 할 필요는 없어 A방을 방문한 후 다른 방을 방문한 후 B방을 방문해도 좋습니다.
방 개수 n, 동굴의 각 통로들이 연결하는 두 방의 번호가 담긴 2차원 배열 path, 프로도가 정한 방문 순서가 담긴 2차원 배열 ord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프로도가 규칙에 맞게 모든 방을 탐험할 수 있을 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은 2 이상 200,000 이하입니다.
- path 배열의 세로(행) 길이는 n - 1 입니다.
- path 배열의 원소는 [방 번호 A, 방 번호 B] 형태입니다.
- 두 방 A, B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나타냅니다.
- 통로가 연결하는 두 방 번호가 순서없이 들어있음에 주의하세요.
- order 배열의 세로(행) 길이는 1 이상 (n / 2) 이하입니다.
- order 배열의 원소는 [방 번호 A, 방 번호 B] 형태입니다.
- A번 방을 먼저 방문한 후 B번 방을 방문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입출력 예
n path order result9 | [[0,1],[0,3],[0,7],[8,1],[3,6],[1,2],[4,7],[7,5]] | [[8,5],[6,7],[4,1]] | true |
9 | [[8,1],[0,1],[1,2],[0,7],[4,7],[0,3],[7,5],[3,6]] | [[4,1],[5,2]] | true |
9 | [[0,1],[0,3],[0,7],[8,1],[3,6],[1,2],[4,7],[7,5]] | [[4,1],[8,7],[6,5]] | false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동굴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방문 순서를 지켜야 하는 방 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6번 → 7번
- 4번 → 1번
- 8번 → 5번
따라서 모든 방을 방문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 0번 → 3번 → 6번 → 3번 → 0번 → 7번 → 4번 → 7번 → 0번 → 1번 → 8번 → 1번 → 2번 → 1번 → 0번 → 7번 → 5번
입출력 예 #2
다음 순서로 각 방을 방문하면 됩니다.
- 0번 → 7번 → 4번 → 7번 → 5번 → 7번 → 0번 → 3번 → 6번 → 3번 → 0번 → 1번 → 8번 → 1번 → 2번
입출력 예 #3
규칙에 맞게 모든 방을 방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풀이법>
▒ 한줄 개념: BFS ▒
이틀? 3일? 정도 잡고 있었다. 실제 코테에서 풀려면 더 많이 공부해야할 것 같다.
처음에는 n의 사이즈가 200,000이고 효율성 테스트가 있어 그래프를 완전 탐색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BFS로 모든 방을 탐색함으로서 풀 수 있는 문제였다.
문제 풀이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path를 가지고 ArrayList 배열 생성.
2. order를 가지고 {선행 방: 후행 방}, {후행 방: 선행 방} 의 두 가지 map 만들기.
3. 후행 방 값 중에서 0이 포함되어 있을경우 return false. 0은 무조건 맨 처음이므로, 후행 조건에 포함되면 안된다.
4. bfs를 사용하여 전체 방 탐색.
4-a. 큐에서 pop하고, popped와 연결된 방 중 방문되지 않은 방 next
4-b. next가 후행 방 중 하나일 경우, 필요한 선행 방이 방문되어 있는지 확인. 되어있다면 VISITED, 안 되어있다면 WAITING 으로 표시
4-c. next가 선행 방 중 하나일 경우, 후행 방이 WAITING인지 확인. 후행 방이 WAITING 일경우 VISITED로 바꿔주고, 큐에 삽입. 4-d 로 진행.
4-d. visited[next] = VISITED로 바꾸고, 큐에 삽입.
5. visited[]에 VISITED 가 아닌 값이 존재하면 return false, 아니면 return true
<<주의사항>>
처음에 adj_list를 LinkedList로 선언했었다. 허나 효율성 마지막 2문제에서 계속 시간초과가 떴다.
이유를 계속 찾다가 보니, LinkedList는 탐색에 있어서 맨 앞의 것부터 탐색을 하니, bfs 내부에서 반복문을 돌면서 연결된 방을 찾을 때 비효율적이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LinkedList를 ArrayList로 바꿨고, 모든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었다.
<코드(Java)>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boolean solution(int n, int[][] path, int[][] order) {
int[] visited = new int[n];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ArrayList<Integer>[] adj_list = new ArrayList[n];
HashMap<Integer, Integer> s_e = new HashMap<>();
HashMap<Integer, Integer> e_s = new HashMap<>();
int NOT_VISITED = 0, VISITED = 1, WAITING = 2;
for(int i = 0; i < n; i++) adj_list[i] = new ArrayList<>();
for(int[] p : path){ // 1
adj_list[p[0]].add(p[1]);
adj_list[p[1]].add(p[0]);
}
for(int[] o : order){ // 2
s_e.put(o[0], o[1]);
e_s.put(o[1], o[0]);
}
if(e_s.keySet().contains(0)) return false; // 3
queue.offer(0); // 4
visited[0] = VISITED;
while(!queue.isEmpty()){
int popped = queue.poll(); // 4-a
for(int i = 0; i < adj_list[popped].size(); i++){
int next = adj_list[popped].get(i);
if(visited[next] == NOT_VISITED){
if(e_s.keySet().contains(next)){ // 4-b
if(visited[e_s.get(next)] == VISITED){
queue.offer(next);
visited[next] = VISITED;
}else
visited[next] = WAITING;
}else{ // 4-c
if(s_e.keySet().contains(next) && visited[s_e.get(next)] == WAITING){
queue.offer(s_e.get(next));
visited[s_e.get(next)] = VISITED;
}
queue.offer(next); // 4-d
visited[next] = VISITED;
}
}
}
}
for(int v : visited) // 5
if(v != VISITED) return false;
return true;
}
}
더 많은 코드 보기(GitHub) : github.com/dwkim-97/CodingTest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쿠키 구입 / Java (0) | 2021.04.05 |
---|---|
[프로그래머스] 지형 이동 / Java (0) | 2021.04.04 |
[프로그래머스] 블록 게임 / Java (0) | 2021.03.31 |
[프로그래머스] 무지의 먹방 라이브 / Java (3) | 2021.03.31 |
[프로그래머스] 보행자 천국 / Java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