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는 사막여우
개발하는 사막여우
개발하는 사막여우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All (310)
    • Books (13)
      •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13)
    • Study (6)
      • Blockchain (3)
      • Algorithm (3)
    • Baekjoon (36)
    • Programmers (166)
    • LeetCode (15)
    • Open Source (1)
      • Youtube Popout Player (1)
    • Language (32)
      • Python (9)
      • JS (8)
      • Java (5)
      • HTML (6)
      • CSS (4)
    • Library & Framework (15)
      • React.js (15)
    • IDE (2)
      • IntelliJ (2)
    • Airdrop (9)
    • Tistory (2)
    • etc.. (12)
      • Cozubi (6)
      • lol-chess (0)

블로그 메뉴

  • Github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프로그래머스 위클리 챌린지
  •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 Python
  • 카카오 코딩테스트
  • 코인줍줍
  • 알고리즘문제풀이
  • programmers
  •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 클린 코드 작성법
  • 신규 코인 에어드랍
  • 코딩테스트연습
  • 카카오 공채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
  • Cozubi
  • 코주비
  • 카카오 알고리즘 문제
  • 백준
  • Java
  • 클린 코드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반응형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개발하는 사막여우

개발하는 사막여우

[오픈 소스 프로젝트]  Youtube Popout Player (Localization)
Open Source/Youtube Popout Player

[오픈 소스 프로젝트] Youtube Popout Player (Localization)

2020. 12. 22. 10:42
반응형

이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유튜브 동영상을 팝아웃 플레이어로 재생시켜주는 구글의 확장 프로그램이다.

 

github.com/rthaut/YouTubePopoutPlayer

 

rthaut/YouTubePopoutPlayer

This browser extension provides a simple way to open any YouTube video or playlist (including videos and playlists embedded in other sites/pages) in a configurable "popout" window which y...

github.com

설치 방법 등 기본적인 내용은

README.md

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설치 후 Ctrl+↑의 간단한 단축키로 영상을 팝아웃시켜서 시청할 수 있다. 

 

첫 오픈소스에 대한 도전으로 이 프로젝트에 대한 기여를 도전해보기로 한다.

 

 


 

이번에 도전할 기여방법은 Localization이다.

전부 영어로 되어있는 현재 프로그램의 모습.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위와같이 전부 영어로 되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전부 한글화하고 적용시키는 것을 Localization이라고 한다.

 

Localization을 진행하려면 우선 원어로 된 설명들이 적혀있는 부분을 찾아야한다.

아래의 디렉토리로 이동하면, 해당 json 파일들을 볼 수 있다.

YoutubePopoutPlayer > src > _locales > en 

 

json 파일을 메모장으로 오픈한 모습. 단순 Localizatino에서는 IDE도 필요없을 것 같다.

 

commands.json, messages.json, options.json

의 3가지 파일을 찾을 수 있다. 이 3가지 파일이 나의 타겟 파일이 된다.

 


 

Localization을 진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ko 폴더 생성 

한글 버전을 위한 ko 디렉토리를 추가한다.


2. 3개의 파일 복사 후 번역 진행

3개의 파일을 복사해준 뒤에, 각 파일들의 message와 description을 번역해준다.


3. 빌드 테스트

YoutubePopoutPlayer > dist > chrome > manifest.json 파일 실행

메모장으로 열어도 되고, IDE로 열어도 된다. default_locale 값을 번역한 파일이 있는 폴더명으로 설정한다.


4. 빌드 정상적으로 성공시, Pull Request

 

빌드 테스트

소스코드가 저장된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npm run build:development 명령어를 실행해준다. 빌드가 실행될 것이다.

 

정상적으로 빌드가 실행된 모습

 

빌드가 진행이 됐으면, 크롬의 확장프로그램 탭으로 이동한다.

 

구글 확장프로그램으로 추가

 

확장 프로그램 탭에서, 소스코드 폴더의 chrome 디렉토리를 불러와준다. 그럼 다음과 같이 확장프로그램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확장프로그램이 추가된 모습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이 한국어로 번역된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Ta-da-! Localization Success! 

빌드가 정상적으로 성공했으니, Pull Request를 날려보도록 한다.

메인 커밋터가 PR을 받아준다면, Contibutor 목록에 올라가있는 자신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대해 localization을 이용하여 기여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진행해보았다. 

오픈소스에 기여한다는 것이 막연하게 생각하면 어렵지만, 쉽게 생각하면 이런 방법도 있으니 너무 멀게만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반응형
    개발하는 사막여우
    개발하는 사막여우
    개발개발 주저리주저리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