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ers

[프로그래머스] 호텔 방 배정 / Java

개발하는 사막여우 2021. 3. 13. 20:22
반응형

문제주소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3

 

코딩테스트 연습 - 호텔 방 배정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더보기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스노우타운"에서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스카피"는 호텔에 투숙하려는 고객들에게 방을 배정하려 합니다. 호텔에는 방이 총 k개 있으며, 각각의 방은 1번부터 k번까지 번호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방이 비어 있으며 "스카피"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고객에게 방을 배정하려고 합니다.

  1. 한 번에 한 명씩 신청한 순서대로 방을 배정합니다.
  2. 고객은 투숙하기 원하는 방 번호를 제출합니다.
  3. 고객이 원하는 방이 비어 있다면 즉시 배정합니다.
  4. 고객이 원하는 방이 이미 배정되어 있으면 원하는 방보다 번호가 크면서 비어있는 방 중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을 배정합니다.

예를 들어, 방이 총 10개이고,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1, 3, 4, 1, 3, 1] 일 경우 다음과 같이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

원하는 방 번호                                                      배정된 방 번호
1 1
3 3
4 4
1 2
3 5
1 6

전체 방 개수 k와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들어있는 배열 room_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고객에게 배정되는 방 번호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k는 1 이상 1012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oom_number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200,000 이하입니다.
  • room_number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 k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oom_number 배열은 모든 고객이 방을 배정받을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 예를 들어, k = 5, room_number = [5, 5] 와 같은 경우는 방을 배정받지 못하는 고객이 발생하므로 이런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k                                                room_number                              result
10 [1,3,4,1,3,1] [1,3,4,2,5,6]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첫 번째 ~ 세 번째 고객까지는 원하는 방이 비어 있으므로 즉시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네 번째 고객의 경우 1번 방을 배정받기를 원했는데, 1번 방은 빈 방이 아니므로, 1번 보다 번호가 크고 비어 있는 방 중에서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을 배정해야 합니다. 1번 보다 번호가 크면서 비어있는 방은 [2번, 5번, 6번...] 방이며, 이중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은 2번 방입니다. 따라서 네 번째 고객은 2번 방을 배정받습니다. 마찬가지로 5, 6번째 고객은 각각 5번, 6번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

 

<풀이법>

▒ 한줄 개념: Union & Find 알고리즘 ▒ 

Union & Find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되는 문제이다.

[1,1,1] 의 예시가 있다고 했을 때, 1번 손님은 1번 방에, 2번 손님은 2번방에, 3번 손님은 3번 방에 들어가게된다.

1번 손님의 요청에는 1번방이 비어있으니 1번 방을 줄 수 있지만, 2번 손님의 요청에는 1번 방이 이미 차있으므로 다음 방인 2번 방을 줄 수 있다. 3번 손님의 요청에는 1번 방이 차 있고, 2번 방도 차 있으니, 3번 방을 주어야 한다.

이를 반복문을 통해 일일히 체크하면서 다음 방을 찾으면, 방의 개수가 최대 10^12개 이므로 시간 초과가 난다.

따라서 Union&Find 알고리즘을 통해 재귀적으로 풀어주면 효율성 테스트도 통과할 수 있다.

 

재귀를 이용해 1번 방을 요청한 손님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을 찾는 과정에서, 중간의 모든 요청에 대한 방 번호를 다음의 빈 방 번호로 지정해준다.

 

<코드(Java)>

import java.util.HashMap;

class Solution {
    HashMap<Long, Long> map = new HashMap<>();
        public long[] solution(long k, long[] room_number) {
            long[] answer = new long[room_number.length];

            for(int i = 0; i < room_number.length; i++){
                answer[i] = findEmptyRood(room_number[i]);
            }
            return answer;
        }

        long findEmptyRood(long request){
            if(!map.containsKey(request)){
                map.put(request, request+1);
                return request;
            }

            long next_room = map.get(request);
            long empty_room = findEmptyRood(next_room);
            map.put(request, empty_room);
            return empty_room;
        }
}

 

 

더 많은 코드 보기(GitHub) : github.com/dwkim-97/CodingTest

 

 

반응형